임동까스
IP와 도메인 본문
IP란?
Internet trotocol의 약자 ,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모든 기기에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
숫자로 표현되며 10진법 [IPv4] 그리고 16진법 [IPv6] 이 있다.
[IPv4] 는 2011년을 기준으로 할당이 중단된 주소 → 10진법으로 표현된다
구분 | A class | B class | C class | D class |
IP 주소 | 0~255 | 0~255 | 0~255 | 0~255 |
주소 길이 : 주소 길이 : 32bit로 구성되어 있으며, 8bit 단위로 구분 후 10진수로 변환함
주소 범위 : 주소 범위 : 0 ~ 4294967295 → 0.0.0.0 ~ 255.255.255.255 (총 4,294,967,295개)
[IPv6]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사용자 수요를 IPv4로 할당하지 못해 등장 → 16진법으로
표현된다
IP의 종류
공인 IP
주로 공공기관에서 사용
유동IP에 비하여 더 정확한 위치정보 제공
좀 더 빠른 인터넷 속도 제공
사설 IP
공인 IP를 하나의 공유기로 나누어 주는것
가상의 IP를 만들어 각각 제공
외부에서 검색, 접근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하다.
고정 IP
유동IP에 비하여 더 정확한 위치정보 제공
좀 더 빠른 인터넷 속도 제공
IP가 고정되어 있기때문에 보안에 취약
모든걸 수동으로 설정하기때문에 잘못 설정시 IP충돌 가능성
유동 IP
상대적으로 위치정보가 정화하지 않음
대부분 개인이 사용하는 IP
인터넷에 연결될 때 IP를 할당 받음
자동으로 IP가 설정되기 때문에 편리함
도메인이란?
숫자로만 이루어져 있는 IP 주소를 암기하기 어려워 사람들이 기억하기 쉬운 주소 표기법을 고안함.
흔히 말하는 인터넷주소 이며 정확한 명칭으로는 도메인 이름(Domain Name)이라고 한다.
ex) www.naver.com / www. daum.net / www.yahoo.co.kr
구성
기관 또는 단체의 성격에 따라 구분되기도 함
com(commercial)영리단체 / new(network) 네트워크 관련기관 / gov(governmental) 정부기관
국가코드의 경우 kr/jp/ca등 두글자 사용
도메인 네이밍 시스템 DNS (Domain Naming System)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상호 변환해 주는 기능 등을 수행
도메인 관리 기ㅗ간에서 도메인 이름과 IP주소를 관리
도메인을 개인이 구매하여 사용하기도 함
도메인을 발급 받으면 네임서버가 활동하여 도메인 주소를 IP주소로 변환